랜덤채팅 “압수수색 영장 발부?” 그런데 뭔가 수상하다

랜덤채팅 운영 중 ‘압수수색 영장 발부’? 수상한 사건!

며칠 전, 저희 이메일로 무시무시한 메일이 하나 도착했습니다.

“압수수색 영장이 발부되었습니다. 관련 자료를 요청드립니다.”

헉, 갑자기? 사용자 신고나 민원이 들어온 것도 없는데?

메일 주소는 naver.com 도메인, 발신인은 경찰관이라며 신분증 사진도 첨부되었더라고요.

하지만 뭔가 이상했습니다.

위에는 “경기도남부경찰서”, 아래 서명은 “김포경찰서”…

경기도남부 경찰서와 김포 경찰서, 두 곳이 혼합된 문구가 과연 진짜일까요?

즉시 112에 전화해 확인한 결과, “그런 이름의 경찰관은 없다”고 했습니다.

진짜 압수수색이라면 이런 식으로 오지 않습니다. 경찰은 보통 @police.go.kr 도메인으로 공식 메일을 보내며, 처음에는 “수사 협조 요청” 정도로 오고, 공문 첨부 후 정식 요청을 합니다.

이메일을 통해 수사 협조 요청이 아니라 압수수색 영장 발부라는 메일을 받았을 때, 운영자라면 누구나 긴장할 수밖에 없습니다.

운영을 오래 하다 보면, 이런 황당한 사칭 사건들이 종종 발생합니다. 아마 경쟁사나 괴짜 장난일 수 있지만, 메일 한 통으로 사람의 심장을 쿵 내려앉게 만듭니다.

“영장 발부되었습니다”라는 말을 듣고 운영자는 멘붕이 올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상황은 정말 황당하지만, 경계심을 가지고 대처해야 합니다.

랜덤채팅


랜덤채팅 운영 중 또 다른 가짜 공문 등장! ‘여성가족부 단속’

얼마 전 새벽 2시쯤, 이메일에 또 다른 알림이 떴습니다.

”[여성가족부 통신감독과] 채팅앱 미성년자 관련 단속 공문 요청”

이 메일도 매우 의심스러웠습니다. 발신자는 Gmail 주소에서 온 메일이었고, “여성가족부 단속반 김○○ 주무관입니다”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메일에서 이상한 점이 많았습니다.

  • 여성가족부에서 오는 공식 메일은 절대 Gmail 주소로 오지 않으며,
  • 전화번호는 +65로 시작, 즉 싱가포르에서 온 번호였습니다.
  • 심지어 공문 로고는 흐릿하게 복사 붙여넣기한 수준이었습니다.

실제로 여성가족부의 공문은 여성가족부 도메인에서 보내며, 문서번호와 전자문서 링크도 포함됩니다.

그렇기에 이 메일은 바로 스팸 신고를 했습니다. 그리고 그 메일을 보낸 김주무관은 아마 지금쯤 다음 캐릭터 설정 중일지도 모릅니다.

운영을 하다 보면, 가짜들이 진짜보다 더 정성스럽게 나타납니다.


랜덤채팅 운영 중 가짜 수사 협조와 압수수색 영장 사기

랜덤채팅 운영을 하다 보면, 가짜 경찰관이나 가짜 공문을 만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수사 협조를 요청하는 공문은 매우 정식 절차를 따릅니다.

하지만 영장 발부수사 협조 요청을 사칭한 메일이 올 때는 운영자들이 긴장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절대 당황하지 말고, 정확한 확인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서비스 운영자는 항상 주의 깊게 확인해야 하는 버릇을 들여야 하네요.

이메일이 사기인지 진짜인지 판단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며, 공식적인 경로를 통해 상황을 확인하는 것이 꽤 스트레스가 되기도 해요.

오늘도 저희 랜덤채팅 서비스는 이상 징후에 민감하게 대응 중입니다.

가짜 공문이나 가짜 수사 협조 요청에 속지 않도록, 계속해서 경계를 유지하면서 서비스는 정상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실제 수사 협조로 잡힌 사기꾼 이야기도 다가옵니다!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수사 협조 관련 사건을 다루면서, 앞으로 실제 수사 협조로 잡힌 사기꾼 이야기도 소개할 예정입니다.

재밌는 이야기들이 많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이번 일은 그냥 웃고 넘겼지만,

생각해보면 되게 위험한 장난이었어요.

실제로 운영자 입장에서는 순간 식은땀 나거든요.

오늘도 저희 남매가 함께 운영하는 랜덤채팅은

이런 이상 징후에도 민감하게 대응 중입니다.

다음엔 또 실제 수사 협조로 잡힌 사기꾼 이야기도 풀어드릴게요.

재밌는 일 많거든요. 😉

https://didichatting.com/service/

위로 스크롤